내 관할 주민센터, 어디인지 모르겠다고요? 3초 컷으로 찾는 법 알려드림!
저번에 주택임대차 신고제 의무화에 대해 포스팅했잖아요.
(보증금 6천만 원 초과 or 월세 30만 원 초과 계약은 신고 필수!)
그 글에서 오프라인 신고는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에 가야 한다고 알려드렸죠.
근데 “관할 주민센터가 어딘데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여기서 막히더라고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관할 주민센터 초간단 조회법!
관할 주민센터 찾는 방법 (도로명주소 이용)
준비물: 내가 신고하려는 집 주소
아래 방법은 PC/모바일 다 가능하고, 로그인 없이 조회할 수 있어요!
STEP 1
도로명주소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STEP 2
자신의 주소(도로명/지번) 입력 (이해를 돕기 위해 아무 주소를 활용했어요!)
STEP 3
검색 후 해당 주소 정보에서 '+더보기'를 클릭해 주세요!
그러면 아래에 관할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정보가 뜹니다.
STEP 4
더 정확한 주소가 필요하다면 전화번호를 검색하세요!
네이버에서 검색하니 114On 사이트에서 정확한 주소가 나오네요 ㅎㅎ
헷갈리는 포인트 한 번 더 정리!
구분 | 설명 |
어떤 주소로 찾나요? | 계약하려는 집(임대주택)의 주소 |
꼭 오프라인으로만 해야 하나요? | 아니요. 온라인 신고도 가능하지만, 오프라인은 주민센터 직접 방문 |
주민센터가 뭐예요? | ‘행정복지센터’랑 같은 말입니다. 걱정 마세요! |
나 혼자 가도 되나요? | 계약서에 서명한 사람 중 1명만 가도 OK (공동신고로 인정됨) |
돈 주반니의 한 줄 코멘트!
생각보다 간단하죠? 집 주소만 알면 내 관할 주민센터 3초 컷!
오프라인 신고할 때는 꼭 미리 확인하고 가세요.
줄 서서 헛걸음하면 속상하니까요 😅
🔖 관련글 다시 보기
📌2025.06.10 - [정부 혜택, 지원금, 제도/놓치기 쉬운 생활형 혜택] - 보증금 6천·월세 30만 초과? 주택임대차 신고제, 6월부터 과태료 부과 시작!
728x90
'정부 혜택, 지원금, 제도 > 놓치기 쉬운 생활형 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증금 6천·월세 30만 초과? 주택임대차 신고제, 6월부터 과태료 부과 시작! (21) | 2025.06.11 |
---|---|
[온도주의 캠페인] 정답 공개! LG그램·갤탭 받는 퀴즈 이벤트 참여법 (15) | 2025.06.10 |
🎓 서울시 ‘꿈나래통장’ 2025 신규 모집! 자녀 교육비 준비, 지금이 기회! (34) | 2025.06.05 |
예금 보호 한도 1억 원으로 상향! 9월부터 바뀌는 예금자 보호 제도 총정리 (42) | 2025.05.30 |
🔬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월 110만 원?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조건 총정리! (6) | 2025.05.20 |